말레이시아 인플루언서 활용 전략

말레이시아 통계청에 따르면 2020년 기준 말레이시아 모바일 보급률은 98.2%이며, 인터넷 보급률은 89.6%로 나타나고 있습니다.

2020년 말레이시아인의 인터넷 사용 시간은 예년 대비 대폭 증가했습니다. 2018년 일일 인터넷 사용 시간은 1-4시간(39.2%), 5-8시간(23.9%), 9-12시간(13.4%) 순으로 분포돼 있는 반면, 2020년에는 5-8시간(28.6%), 1-4시간(24.9%), 9-12시간(21.5%)을 기록하며 전반적인 일일 인터넷 사용시간이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하루 18시간 이상의 장시간 사용률도 2020년에 11.5%를 기록하며 2018년 8.1%로 비해 증가했습니다.

external_image

말레이시아인의 자주 사용하는 인터넷 기능에 대한 조사에서 98.1%의 말레이시아인이 문자 커뮤니케이션 기능을 사용한다고 답했습니다. 뒤를 이어 소셜미디어(93.3%), 영상 시청(87.3%), 음성/영상 커뮤니케이션(81.1%), 정보 조사(74.3%) 기능을 자주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external_image

이로 인해 우리소비재 기업들의 말레이시아 진출 이후에 강조되는 점은 디지털 마케팅입니다.

말레이시아 내 주요 디지털 마케팅 수단으로 페이스북, 유튜브, 인스타그램 등의 소셜네트워킹서비스(SNS)를 꼽을 수 있다. 말레이시아 내 사용자 수가 제일 많은 SNS 애플리케이션은 페이스북으로 2020년에 사용률 91.7%를 기록했습니다. 그러나 해당 수치는 2018년 97.3%에 비해 5.6% 감소한 것으로 말레이시아 내 페이스북 사용자가 점점 줄어들고 있다고 분석됩니다. 반면, 2020년 유튜브와 인스타그램의 사용률은 각 80.6%와 63.1%로 2018년 48.3%, 57%에 비해 사용률이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특히, 유튜브는 2018년 대비 2020년 사용률이 32.3% 늘어나면서 높은 성장세를 보였습니다.

PDS에서는 우리기업들의 디지털 마케팅을 지원하기위해 1.컨텐츠 제작 2. 라이브커머스 3. 홍보 동영상등 현지문화와 타깃에 적합할수 있도록 맞춤형 인플루언서 마케팅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인플루언서 한국 화장품 인스타라이브 촬영모습

우리 중소기업들에게는 현지 유통업체를 파트너로 협력하여 지원을 해줄수 도 있으며, 3PL 물류를 통하여서 한국에서 직접 온라인플랫폼을 통하여 유통할수 있는 채널을 개설할수 있습니다.

말레이시아의 인터넷 사용률과 도시화율은 동남아시아 국가 중에 최상위권에 위치해있기 때문에 SNS, 검색엔진 최적화, 챗봇, 전자상거래 광고 등 디지털 마케팅에 대한 접근성이 높으며 그 효과 또한  인근 국가에 비해 큰 편입니다.

이처럼 우수한 인터넷 인프라를 보유하고 있는  말레이시아 시장에서 디지털 마케팅의 중요성은 점점 커지고 있으며 이런 추세는 코로나19 확산 이후 점점 더 심화되고 있는 바, 말레이시아 시장에 진출하려는 우리 기업은 제품에 맞는 디지털 마케팅 수단을 선정해 홍보에 적극 활용해야 할 것입니다.

Leave a Reply

Please log in using one of these methods to post your comment:

WordPress.com Logo

You are commenting using your WordPress.com account. Log Out /  Change )

Facebook photo

You are commenting using your Facebook account. Log Out /  Change )

Connecting to %s

%d bloggers like this: